학교 공부/데이터베이스
-
물리적 데이터베이스 설계, 정규화 정리학교 공부/데이터베이스 2021. 6. 13. 22:34
디스크 상에서 화일의 레코드 배치 필드(애트리뷰트) → 레코드(투플) → 화일(레코드들의 모임, 블록들의 모임에 저장됨) 고정길이 레코드 가변길이 레코드 화일 조직 화일 내의 데이터를 보조 기억 장치에서 블록과 레코드들로 배치하는 것 히프 화일 비순서 화일 레코드 삭제하면 삭제된 레코드가 차지하던 공간 재사용하지 않음. 주기적으로 재조직해야 할 필요가 있음 순차 화일 순서 화일 탐색 키 값의 순서에 따라 저장됨 히프 화일이랑 마찬가지로 삭제 레코드 자리 재사용하지 않음. 주기적으로 재조직해야 할 필요가 있음 DB 응용에 거의 사용되지 않음 인덱스된 순차 화일 직접 화일 단일 단계 인덱스 인덱스를 통해 임의의 레코드 접근 각 엔트리 : 탐색 키 인덱스가 정의된 필드 반드시 고유하지는 않음 어떤 애트리뷰트도..
-
관계 데이터 모델 정리학교 공부/데이터베이스 2021. 4. 12. 23:09
기본적인 용어 정리 릴레이션(relation) : 2차원의 테이블(표 자체를 말하는 것) 레코드(record) : 릴레이션의 각 행 투플(tuple) : 레코드를 공식적으로 부르는 용어 - 행 애트리뷰트(attribute) : 릴레이션에서 이름을 가진 하나의 열 스키마 : 릴레이션의 기본적인 구조를 정의한 것 인스턴스 : 정의된 스키마에 따라서 실제 저장된 데이터의 집합 도메인 한 애트리뷰트에 나타날 수 있는 값들의 집합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int, char과 같이 데이터 타입을 정의하는 것과 유사하게 문법적인 개념을 나타낸다. (예 : INTEGER, CHAR(10)처럼 이 애트리뷰트는 정수형 숫자만 들어와야 돼! 또는 문자열이 들어와야 돼!) 차수와 카디날리티 - 차수(degree) : 애트리뷰트들의..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정리학교 공부/데이터베이스 2021. 4. 11. 20:36
데이터베이스의 정의 데이터베이스는 조직체의 응용 시스템들이 공유해서 사용하는 운영 데이터들이 구조적으로 통합된 모임이다.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는 사용되는 데이터 모델에 의해 결정된다. 데이터베이스의 특징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의 대규모 저장소로, 여러 사용자에 의해 동시에 사용된다. 데이터는 중복을 최소화하면서 통합된다. 운영 데이터뿐만 아니라 그 데이터에 관한 설명(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또는 메타데이터)까지 포함된다. 프로그램과 데이터는 서로 독립적이다. 효율적으로 접근 및 질의를 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상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전체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조(뼈대라고 생각하면 된다) 자주 변경되지 않는다..